맨위로가기

일본 제국 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은 중세부터 근대까지 아시아 해상 교류를 통해 성장했으며, 1869년 메이지 정부 수립 후 정식 창설되었다. 영국 해군을 모델로 삼아 근대화되었으며, 청일 전쟁,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고, 현재는 일본 해상자위대가 그 역할을 이어받고 있다. 해군성은 군령부와 이원화된 구조를 가졌으며, 연합함대를 주력 부대로 운용했다. 주요 함선으로는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등이 있었으며, 93식 어뢰 등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9년 설립 - 일본 외무성
    일본 외무성은 일본의 외교 정책을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으로, 외교 정책 수립 및 실행, 재외 국민 보호, 국제 사회와의 협력, 정부 개발 원조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내각총리대신의 지휘 아래 국회의 감독을 받는다.
  • 1869년 설립 - 로스앤젤레스 경찰국
    로스앤젤레스 경찰국은 1853년 로스앤젤레스 레인저스로 시작하여 1869년 공식 설립된 로스앤젤레스 시의 주요 법 집행 기관으로, 경찰위원회의 감독을 받으며 부패, 인종차별 문제와 함께 개혁 및 시민과의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항공 지원, 착용식 카메라 등 다양한 장비와 무기를 활용하여 치안 활동을 수행하며 대중 문화에서 미국 도시 경찰의 대표적인 원형으로 자리매김했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하세가와 요시미치
    하세가와 요시미치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 대장, 조선 주둔군 사령관, 참모총장을 역임하고 제2대 조선 총독으로 3·1 운동 시 무단 통치를 시행했으며, 백작 작위를 받고 사망 후 아오야마 묘지에 안장되었다.
  • 일본의 군사에 관한 - 노기 마레스케
    노기 마레스케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활약한 일본 제국 육군 대장으로,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막대한 인명 피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메이지 천황 서거 후 아내와 함께 자결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군사적 능력과 자결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는 인물이다.
  • 진주만 공격 - 헐 노트
    헐 노트는 1941년 미국 국무장관 코델 헐이 일본에 제시한 외교 문서로,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및 중국 철수 등을 요구하며, 진주만 공격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 진주만 공격 - 소류 (항공모함)
    소류는 일본 제국 해군이 건조한 항공모함으로, 1937년 취역하여 진주만 공격, 미드웨이 해전 등에 참여했으나 1942년 미 해군 공격으로 침몰했다.
일본 제국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일본 제국 해군 군함기
군함기
정식 명칭'' (다이닛폰테이코쿠카이군)
'' (다이닛폰테이코쿠카이군)
'' (닛폰카이군)
로마자 표기Dai-Nippon Teikoku Kaigun
영어 명칭Imperial Japanese Navy; IJN
창설1868년
해산1945년
국가일본 제국
종류해군
역할해전
육전
항공 작전
지휘 체계일본군
본부대본영
해군성
사령부 위치도쿄도 고치마치구 (현 지요다구)
군가군함행진곡
기념일5월 27일
지휘관
총사령관메이지 천황
다이쇼 천황
쇼와 천황
해군 대신니레 가게노리 (초대)
요나이 미쓰마사 (마지막)
군령부 총장사이고 주도 (초대)
도요다 소무 (마지막)
주요 지휘관이토 스케유키
야마모토 곤베에
가토 도모사부로
도고 헤이하치로
요나이 미쓰마사
야마모토 이소로쿠
야마구치 다몬
나구모 주이치
시마다 시게타로
후시노미야 히로야스
미치노미야 히로히토
휘장
군함기
국적기
라운델
조직
주요 기관해군성
군령부
해군함정본부
해군항공본부
외국 등 목록
지방 조직진수부
경비부
요항부
주만 해군부
함대연합함대
북동방면함대
중부태평양방면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제10방면함대
지나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해군총대
기타 작전 부대해군 항공대
해군 육전대
주요 기관학교 목록
역사 및 전통
역사일본 해군의 역사
군복일본 해군의 군복
기타
계급계급 목록
함정함정 목록
병장병장 목록
참전 전투
주요 참전타이완 침략
운요호 사건
청일 전쟁
의화단 운동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항공기
항공기 목록항공기 목록

2. 역사



일본 제국 해군은 군정(行政)은 해군대신이, 군령은 군령부총장이 담당했으며, 천황이 통수권을 가진 최고 통수권자였다.[1] 대일본제국헌법에 따르면, 최고 전략, 부대 편성 등의 군사 대권은 헌법상 내각으로부터 독립하여 천황의 통수권에 속했다.[1] 따라서 모든 일본군(육해군)의 최고 사령관은 천황이었고, 군정에 대해서는 해군대신과 육군대신이, 작전 면에서는 군령부총장과 참모총장이 천황을 비밀리에 보좌했다.[1]

군령이 군정과 대등해지고 육군과 해군도 대등하게 됨에 따라 "통수 이원"이라는 문제가 발생했다.[1] 양측은 서로에게 복종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이고 통일적인 작전을 수행하기 어려웠고, 작전은 항상 양측의 타협적인 것이 선택되었다.[1] 다른 많은 국가의 군대처럼 해군총사령관, 육군최고사령관과 같은 최고위 지휘관은 존재하지 않았다.[1] 전시에는 육군과 합동으로 대본영을 설치했다.[1]

일본은 사방이 해양으로 둘러싸인 해양 국가이기 때문에, 서태평양의 제해권을 확보하여 적 전력을 본토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전략으로 삼고, 불가침・불침략을 원칙으로 했다.[2] 또한, 영국 해군의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전투에서는 호전적인 자세를 존중하고 "적을 보면 반드시 죽인다"를 목표로 적극적인 공세를 펼쳤다.[2]

해군 전략 전술 연구의 공로자로 사토 테츠타로 중장이 있다.[2] 그는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해군의 병술 사상 연구에 종사하여 그 기반을 구축했다.[2] 1907년 『제국국방사론』을 저술하여 일본의 군사 전략과 군사력 건설 계획에 영향을 주었다.[2] 그러나 제국 육군과의 관계는 좋지 않았고, 잦은 영역 다툼으로 인해 대립을 보였다.[2]

소속 함정은 함명 앞에 함선 접두사를 붙이지 않는다.[2] 영어권 문헌에서는 영미군 함정과의 기록의 일관성을 위해 "HIJMS"(''His Imperial Japanese Majesty's Ship'', 일본국의 천황 폐하의 군함)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2]

2. 1. 기원

일본 해군의 기원은 아시아 근해에서 다른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을 때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중세 시대부터 대항해시대를 거쳐 유럽 열강과 교류가 활발했던 16세기17세기에 가장 활발했다.

16세기 아타케부네 연안 전투함. 토쿠가와 씨의 문장을 새기고 있다.


상인이자 군인이었던 야마다 나가마사(1590~1630)의 군함. 그는 아유타야(태국)를 여행했다.


6번 오다이바 포대, 에도 시대의 원래 포대섬 중 하나. 이 포대들은 해군의 침입에 저항하도록 건설된 방어 시설이다.


일본에서 건조된 1613년산 갤리온선 ''산후안 바우티스타''의 복제품, 이시노마키에 위치


일본은 아시아 대륙과 오랜 해상 교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3세기 고훈 시대 초부터 한국과 일본 사이의 병력 수송이 이루어졌다.[3] 1274년과 1281년 쿠빌라이 칸원나라의 일본 원정 시도 이후, 일본의 왜구중국 해안을 약탈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중국의 일본 침략 위협에 대응하여, 1405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중국의 요구에 항복하고 20명의 붙잡힌 일본 해적을 중국으로 보냈으며, 그들은 닝보에서 가마솥에 삶아 죽임을 당했다.[4]

일본은 16세기 센고쿠 시대(전국 시대)에 주요 해군 건설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봉건 영주들은 패권을 다투며 수백 척에 달하는 거대한 연안 함대를 건설했다. 그 무렵 일본은 최초의 철갑선 중 하나를 개발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오다 노부나가라는 다이묘가 1576년 철로 덮인 6척의 오아타케부네를 건조했기 때문이다.[5] 158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왜구의 해적 행위를 금지했고, 해적들은 히데요시의 신하가 되어 임진왜란(1592~1598)에 사용된 해군력을 구성했다.

일본은 17세기 초 남만 무역 시대 동안 서양 국가들과의 접촉 이후 최초의 대형 원양 군함을 건조했다. 1613년 센다이의 다이묘는 도쿠가와 막부와 합의하여 500톤급 갤리온선인 '''다테 마루''''를 건조했고, 이 배는 하세쿠라 쓰네나가의 일본 사절단을 아메리카로, 그리고 유럽으로 수송했다.[6] 1604년부터 막부는 주로 동남아시아 무역을 위해 약 350척의 붉은 인장선을 건조했는데, 이 배들은 보통 무장을 갖추고 일부 서양 기술을 통합했다.[7][8]

에도 시대의 쇄국 정책으로 인해 해군 활동은 다시 위축되었다. 1640년대부터 200년 이상, 일본의 쇄국("사카쿠") 정책은 외부 세계와의 접촉을 금지하고 사형에 처할 위험을 무릅쓰고 대양을 항해하는 배의 건조를 금지했다.[9] 그러나 나가사키 항을 통해 네덜란드와, 나가사키와 류큐, 그리고 중간상인을 통해 조선과도 접촉을 유지했다. 네덜란드의 나가사키 데지마 거주지를 통해 "랑가쿠"라 불리는 서양 과학 연구는 서양의 기술 및 과학혁명과 관련된 지식 전달로 이어져 일본이 지도 제작, 광학 및 기계 과학과 같은 해군 과학을 인지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쇄국은 국가가 가지고 있던 해군 및 해양 전통의 상실로 이어졌다.

2. 2. 근대화

1853년1854년, 매슈 캘브레이스 페리 제독이 이끄는 미국 해군 함대는 최신 증기 동력 전함을 이끌고 일본에 무력 시위를 벌였다. 페리는 결국 1854년 가나가와 조약을 통해 일본을 개항시켜 무역을 허용했다.[9] 곧이어 1858년 미일 화친 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통해 외국인 거류지가 설정되고 외국 상품에 대한 최소 관세만 부과하게 되었다.

일본이 외국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것에 동의하자마자 에도 막부는 서양의 해양 기술을 적극적으로 습득하려는 정책을 시작했다. 1855년, 네덜란드의 지원을 받아 막부는 첫 번째 증기 동력 전함인 간코마루를 획득하여 나가사키 해군 훈련소 설립에 사용했다. 1857년에는 최초의 스크류 추진 증기 동력 전함 간린마루를 획득했다. 막부의 초기 해군 양성 시도는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 고베 해군 훈련소, 쓰키치 군함조련소 등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후 에노모토 다케아키(1862년~1867년 네덜란드 유학), 도고 헤이하치로, 야마모토 이소로쿠 등 해군 훈련생들은 서양 해군 학교에서 공부하며 해외 유학파 지도자들의 전통이 시작되었다.

1863년, 외국에 문호를 개방한 지 10년도 안 되어 일본은 최초의 국내 건조 군함 지요다가타를 완성했다. 1865년에는 프랑스 기술자 레옹스 베르니를 고용하여 일본 최초의 근대적 해군 병기창을 요코스카와 나가사키에 건설했다. 1867년부터 1868년 사이에는 트레이시(Tracey) 함장이 이끄는 영국 해군 사절단이 일본에 파견되어 해군 건설과 쓰키지의 해군 학교 조직을 도왔다.

1867년 대정봉환으로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릴 때까지, 도쿠가와 해군은 아시아 최대 규모였으며 8척 내외의 증기 동력 전함을 보유했다. 기함은 가이요마루였으며, 보신 전쟁 중 에노모토 제독의 지휘 아래 천황 찬성파가 사용했다. 이 전쟁은 1869년 하코다테 해전에서 절정에 이르렀는데, 이는 일본 최초의 대규모 현대적 해전이었다. 이 해전에서 도쿠가와 군이 패배하고 존황파가 승리했다. 혁명적인 프랑스 철갑함 고테쓰는 원래 도쿠가와 측에서 주문했지만, 천황파에 납품되어 이 해전을 끝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868년부터 메이지 천황 중심 체제에서 일본의 산업화와 군사화가 계속 추진되었다. 1868년 1월 17일 병부성이 설치되었고, 이와쿠라 도모미, 시마즈 다다요시, 고마쓰노미야 아키히토 왕자가 장관이 되었다.

1869년 7월, 보신 전쟁 2개월 후 일본 제국 해군이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같은 해 7월, 각 지역의 해군은 해체되고 11척의 배가 폐지된 도쿠가와 막부 해군에 추가되어 제국 해군을 형성하는 중심이 되었다. 1872년 2월, 병부성은 육군성과 해군성으로 분리되었다. 1873년 10월, 가쓰 가이슈가 해군경이 되었다. 새 정부는 200척의 배로 10개 함대를 구성하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으나, 자원 부족으로 1년도 안 되어 폐기되었다.

1880년대에 프랑스는 순양함이나 어뢰정 같은 작고 빠른 전함을 지지하는 주네 에콜(청년학파) 독트린으로 주도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일동맹으로 돈독해진 영국은 공고급 전함을 통해 일본 제국에 편의를 제공했는데, 1번함 공고는 영국에서 건조되어 일본으로 인도되었고, 2번함 히에이 건조에는 기술자를 파견하여 도움을 주었다.

2. 3. 주요 분쟁


  • 청일 전쟁(1894년-1895년): 일본 제국 해군은 황해 해전에서 청나라의 북양함대를 격파했다. 청나라 함대는 12척의 전함 중 8척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11] 이 승리로 일본은 타이완과 랴오둥 반도를 획득했다.
  • 러일 전쟁(1904년-1905년): 일본 제국 해군은 태평양 함대황해 해전울산 해전에서 격파한 뒤, 러시아 제국 발트 함대쓰시마 해전에서 전멸시켰다. 이 승리로 일본은 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특히 쓰시마 해전은 일본 해군 역사상 가장 큰 승리로 기록된다.
  • 제1차 세계 대전: 일본은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지중해에서 수송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67] 또한, 칭다오 포위전에서 대영제국 해군과 함께 칭다오 항만을 봉쇄하고, 태평양에서도 활약했다.[67]
  • 중일 전쟁(1937년-1945년): 일본 해군은 중국 해안에서의 상륙 작전 지원과 중국 도시에 대한 전략적 공중 폭격을 담당했다. 이는 해군 항공대가 이러한 임무를 맡은 최초의 사례였다.[40]
  • 태평양 전쟁(1941년-1945년): 일본 해군은 진주만 공격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 연합군과 전투를 벌였다.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미드웨이 해전과 과달카날 전투를 거치며 전세가 역전되었고, 결국 패배했다.

2. 4. 해체와 유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의 항복과 그에 따른 연합국의 점령으로 인해, 일본 제국 해군을 포함한 일본군 전체가 1945년에 해산되었다.[47] 1947년에 제정된 새로운 일본국 헌법제9조는 "일본 국민은 국가의 주권적 권리로서 전쟁을 영원히 포기하며, 국제 분쟁 해결 수단으로서의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을 포기한다"고 명시하고 있다.[47] 일본에서는 이 조항이 자위 목적으로 군대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48]

1952년, 주로 미국이 제공한 구축함 등의 군함과 기뢰 제거 함대를 통합한 해상보안청 내에 자위대 경비대가 설립되었다. 1954년, 자위대 경비대는 분리되었고, 1954년 자위대법 통과 후 일본 해상자위대(JMSDF)가 일본 자위대(JSDF)의 해군 부대로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 현재 일본 해군은 일본 해상자위대(JMSDF)에 속한다.[49][50][51][52][53][54][55]

3. 조직


  • 해군성: 내각에 소속되어 군정을 담당했다.
  • 군령부: 천황 직속의 帷幄(이幄) 기관으로, 작전·전략 등 군사 행동 외에 시기에 따라 첩보·암호 제정·전사 편찬 등에도 종사했다.
  • 해군성 외국: 해군 함정본부, 해군항공본부, 해군교육본부, 수로부 등 다수의 외국이 있었다.
  • 해군 군수 공장: 해군공창, 공창, 화약창, 연료창, 의량창, 요품창이 있었다. 관할 진수부 및 함정본부나 항공본부 등 담당 부서에 예속되었다.
  • 해군대신 직속 교육 기관: 해군대학교 외에 해군병학교, 해군기관학교, 해군경리학교(해군삼교) 등이 있었다.
  • 수과학교는 관할 진수부 및 교육본부·해군성 교육국에 예속되었다.
  • 진수부: 해군의 지방 조직으로, 함정의 보전, 군인 군속의 육성, 내전 작전에 종사했다. 진수부 사령장관은 천황에 직속되었다.
  • 경비부: 요항부를 개편한 해군의 지방 조직. 진수부와 동격이지만, 고유의 전력을 보유하지 않았다.
  • 요항부: 진수부보다 소규모인 해군의 지방 조직. 요항부 사령관은 진수부 사령장관과 마찬가지로 천황에 직속되었다.
  • 해군병원: 위생에 종사했다. 오 해군병원, 요코스카 해군병원 등이 있으며, 해군성 의무국에 예속되었다.
  • 함대 사령장관은 천황에 직속되었다.
  • * 연합함대는 2개 함대 이상의 함대로 구성되며, 해군 작전의 주력이었다.
  • * 지나방면함대는 연합함대에 필적하는 대함대로, 연합함대에 속하지 않고 중국 대륙에서의 해군 작전에 종사했다.
  • * 해상호위총사령부도 연합함대에 필적하는 부대로, 연합함대에 속하지 않고 수송선단 호위에 종사했다.
  • * 진수부부대, 경비부부대도 독립된 부대로, 관할 해역의 방위에 종사했다.

4. 계급

일본 제국 해군의 계급은 장교, 하사관, 병으로 구분되었다.

장교는 대장, 중장, 소장, 대좌, 중좌, 소좌, 대위, 중위, 소위로 나뉘었다.

계급이미지
대원수 (천황)--
대장--
중장--
소장--
대좌 (대령)--
중좌 (중령)--
소좌 (소령)--
대위--
중위--
소위--



하사관은 상등병조, 일등병조, 이등병조로 나뉘었다. 병은 수병장, 상등수병, 일등수병, 이등수병으로 나뉘었다.

구분계급이미지
하사관상등병조 (상사)--
일등병조 (중사)--
이등병조 (하사)--
수병장 (병장)--
상등수병 (상병)--
일등수병 (일등병)--
이등수병 (이등병)--


5. 주요 함선

일본 제국 해군은 다양한 종류의 함선을 보유하여, 태평양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함선들은 다음과 같다.

함종주요 함선
전함야마토, 무사시, 나가토, 후소
항공모함아카기, 카가, 소류, 히류, 쇼카쿠, 즈이카쿠, 호쇼
순양함모가미, 묘코, 타카오, 아타고
구축함후부키, 아야나미, 아카츠키, 하츠하루
잠수함이400형 잠수함


  • 야마토, 무사시는 일본 역사상 가장 크고 중무장한 전함으로, 1941년에 진수되었다.[29]
  • 일본은 1922년에 세계 최초로 항공모함으로 설계, 건조된 호쇼를 취역시켰다.[29]
  • 이400형 잠수함은 함재기를 탑재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잠수함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에는 18척의 항공모함이 있었다.[62]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은 4척의 항공모함을 잃었고, 종전 이후 건조 중이던 항공모함들은 모두 건조가 중단되어 폐기되었다. 당시 일본 해군은 야마토급 전함 1번함 야마토, 2번함 무사시, 3번함 시나노를 건조 중이었는데, 3번함 시나노는 항공모함으로 전용되었다.

6. 출신 유명 인물

7. 한국과의 관계

일본은 아시아 대륙과 오랜 해상 교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3세기 고훈 시대 초부터 한국과 일본 사이의 병력 수송이 이루어졌다.[3]

158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왜구의 해적 행위를 금지했고, 해적들은 히데요시의 신하가 되어 임진왜란(1592~1598)에 사용된 해군력을 구성했다.[5]

1875년 운요호 사건으로 일본은 조선에 1876년 강화도 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강요했다. 1882년 임오군란이 발발하자 이와쿠라 도모미는 "해군 확장에 관한 의견"을 제출하여 강력한 해군이 일본의 안보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청일 전쟁에서 일본은 황해 해전에서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하고 시모노세키 조약 결과 타이완과 펑후 제도를 할양받았다. 러일 전쟁에서 일본 제국 해군은 러시아 제국태평양 함대를 격파하고, 쓰시마 해전에서 발트 함대를 전멸시켰다. 이로써 조선은 일본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었고, 1910년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다.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 제국 해군은 한반도에 진해 경비부 등의 해군 기지를 설치하고, 조선인들을 강제 징용하여 해군 군속으로 동원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지만, 일부 인력과 기술은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 창설에 영향을 미쳤다.

7. 1. 운요호 사건 (1875)

1875년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 운요호가 조선 해안 탐사를 명목으로 강화도영종도를 공격하여 조선 민간인을 학살하고, 약탈과 방화를 저지른 사건이다.[12] 이 사건으로 인해 일본은 조선에 1876년 강화도 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강요하게 되었다.[12] 이는 일본이 서구 열강의 침략 방식과 불평등 조약 체결 방식을 처음으로 따라 한 사례였다.[12]

7. 2. 임오군란 (1882)

1882년 7월 임오군란이 발발하자, 이와쿠라 도모미는 "해군 확장에 관한 의견"이라는 문서를 태정관(大政官)에 제출하여 강력한 해군이 일본의 안보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12] 이와쿠라는 국내 반란은 더 이상 일본의 주요 군사적 우려가 아니며, 해군 문제가 육군 문제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크고 현대적인 해군은 일본에 더 큰 국제적 위신[12]과 인정을 심어줄 수 있다고 보았으며, 해군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힘과 지위의 상징이라고 생각했다.[12]

7. 3.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

청일 전쟁에서 일본은 황해 해전에서 청나라 북양함대를 격파하여 전함 12척 중 8척을 잃게 만들었다.[3] 시모노세키 조약 결과 타이완과 펑후 제도가 일본에 할양되었고,[3] 일본 제국 해군은 18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이 섬들을 점령하고 저항 세력을 진압했다. 일본은 랴오둥 반도를 획득했으나, 삼국 간섭으로 러시아, 독일, 프랑스에 의해 중국에 반환해야 했다.[3]

러일 전쟁에서 일본 제국 해군은 러시아 제국태평양 함대황해 해전울산 해전에서 격파하고, 쓰시마 해전에서 발트 함대를 전멸시켰다.[3]

이러한 일본의 승리로 조선은 일본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었고, 일본은 대한제국을 보호국으로 만든 후 1910년에 강제로 병합했다.

7. 4. 일제 강점기 (1910-1945)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 제국 해군은 한반도에 진해 경비부 등의 해군 기지를 설치하고, 조선인들을 강제 징용하여 해군 군속으로 동원했다.[1] 진해 경비부는 한반도 남해안과 동해안 일부를 관할하며, 일본 제국 해군의 주요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1] 많은 조선인들이 일본 제국 해군의 군함 건조, 항만 건설, 군수 물자 수송 등에 강제로 동원되었다.[1]

7. 5. 해방 이후

1945년 해방 이후, 일본 제국 해군은 해체되었지만, 일부 인력과 기술은 대한민국 해군과 해양경찰청 창설에 영향을 미쳤다.[3] 특히, 일본 제국 해군 출신 손원일 제독은 대한민국 해군 초대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해군 창설에 큰 기여를 했다.

참조

[1] 간행물 Japan> National Security> Self-Defense Forces> Early Development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2] 문서 Evans, Kaigun
[3] 서적 Early Samurai: 200–1500 A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3-08-00
[4] 서적 The economic aspects of the history of the civilization of Japan
[5] 웹사이트 "Ironclad ships, however, were not new to Japan and Hideyoshi; Oda Nobunaga, in fact, had many ironclad ships in his fleet." http://s-mizoe.hp.in[...] CR Boxer 2005-11-16
[6]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Volume III: A Century of Advance. Book 1: Trade, Missions, Litera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서적 The Military Revolution: Military Innovation and the Rise of the West, 1500–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A History of Japan: Revised Edition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10] 문서 Jentschura
[11] 서적 Meiji Japan: The emergence of the Meiji stat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2]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Homa & Sekey Books
[13] 서적 Rulers, Guns, and Money: The Global Arms Trade in the Age of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문서 Howe
[15] 서적 Chiyoda (II): First Armoured Cruiser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Conway Maritime Press
[16] 서적 Ground Warfare: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7] 서적 The Arc of Japan's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서적 Maritime Operations in the Russo-Japanese War
[19] 문서 Howe
[20] 문서 Howe
[21] 문서 Jentschura
[22] 서적 Battleships of the 20th Century Jane's
[23] 문서 Jentschura
[24] 문서 Wakamiya
[25] 뉴스 Japanese lieutenant's son visits Japanese war dead at Kalkara cemetery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5-05-25
[26] 서적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Limitation of Naval Armament (FivePower Treaty of Washington Treaty) http://www.loc.gov/l[...]
[28] 웹사이트 Sparrowhawk http://www.j-aircraf[...] 2019-05-09
[29] 문서 The British had used 18-inch guns during the First World War on the large "light" cruiser HMS Furious, converted to an aircraft carrier during the 1920s, and also two of the eight monitors of the Lord Clive, namely Lord Clive and General Wolfe.
[30]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20th Century Weapons and Warfare Phoebus
[31] 문서 Westwood, Fighting Ships
[32] 서적 World War II Warships
[33] 서적 Kaigun
[34] 서적 Influence of Seapower on History, 1660–1783 Little, Brown
[35] 서적 Kaigun
[36] 서적 War Plan Orang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37] 서적 War Plan Orang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38] 서적 The Barrier and the Javelin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39] 서적 World War II warships
[40] 서적
[41] 서적 Japanese Merchant Marine in World War II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Press
[42] 논문 Agents, attachés, and intelligence failures: The Imperial Japanese Navy's efforts to establish espionage networks in the United States before Pearl Harbor 2022-09-22
[43] 서적 The Origins of Japanese Trade Supremacy: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 Asia from 1540 to the Pacific War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44] 서적 The Divine Wind: Japan's Kamikaze Force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45] 뉴스 Imperial Japan's Last Floating Battleship The Diplomat 2017-11-02
[46] 웹사이트 第12航空艦隊 https://www.jacar.go[...] 2024-04-21
[47] 서적 The Rise of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48] 문서 Article 9 of the Japanese Constitution
[49] 웹사이트 Japan Self-Defense Force {{pipe}} Defending Japan http://defendingjapa[...] Defendingjapan.wordpress.com 2014-08-03
[50] 웹사이트 海上自衛隊:ギャラリー:写真ギャラリー:護衛艦(艦艇) https://web.archive.[...] 2014-12-25
[51] 웹사이트 海上自衛隊:ギャラリー:潜水艦(艦艇) https://web.archive.[...] 2014-12-25
[52] 웹사이트 Flightglobal – World Air Forces 2015 https://d1fmezig7cek[...] Flightglobal.com
[53] 웹사이트 The Madness of Toyotomi Hideyoshi https://web.archive.[...] The Samurai Archives 2008-07-19
[54]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Japan's Sea Lane Security, 1940–2004: A Matter Of Life And Dea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56] 서적 最新百科知識精講 昌弘社
[57] 서적 昭和14年版時事年鑑 社団法人同盟通信社
[58] 문서 宮崎県の海上(有明湾を除く)
[59] 문서 宗像郡および遠賀郡・以東の海上
[60] 문서 第二海軍区に含まれない海上
[61] 문서 宮崎県の海上(有明湾のみ)
[62] 서적 最新百科知識精講 昌弘社
[63] 서적 [証言録]海軍反省会 3 PHP研究所 2012-02-15
[64] 서적 囚われの日本軍機秘録 光人社
[65] 문서 海軍における「解員」の呼称
[66] 서적 海上自衛隊はこうして生まれた―「Y文書」が明かす創設の秘密 NHK出版 2003-07-26
[67] 웹사이트 http://digitalcomm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